성남 정자교 일부가 갑자기 무너져 내리면서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죠. <br /> <br />그날 비가 유독 많이 왔던 것도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들은 늘 그랬듯 그저 길을 걸었을 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자교에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던 걸까요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이 포털 사이트 로드뷰를 분석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무려 7년 전, 2016년의 로드뷰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이때부터 보행로는 서서히 가라앉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보행로가 무너지던 날, 균열과 처짐 현장은 더 확연히 드러납니다. <br /> <br />정자교는 지난해 정기 안전 점검에서 '양호' 등급을 받았죠. <br /> <br />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징후를, 안전 점검은 왜 지나쳤을까. <br /> <br />그 이유를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민경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멀쩡하던 보행로가 2016년을 기점으로 아래로 조금씩 처지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3년 뒤인 2019년에는 난간도 가라앉더니 <br /> <br />2021년엔 차도에 희미한 균열이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일 보행로가 내려앉기 직전 CCTV 화면에 포착된 균열과 비슷한 위치입니다. <br /> <br />시설물안전법상 교량 안전 점검은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 그리고 정밀안전진단까지, 크게 세 단계로 나뉩니다. <br /> <br />길이 100m가 넘는 교량으로서 2종 시설물인 정자교는 이 가운데 정기 안전 점검과 정밀 안전 점검만 받으면 됩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우선, 기술자가 맨눈으로 외관을 들여다보는 정기안전점검으론 이상 징후를 발견해 적극적으로 조치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입을 모읍니다. <br /> <br />[서동진 / 다리안전점검 기술자 : 육안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 당시 설계 기준에 맞게 시공되었다는 가정 아래 점검하는 것이에요.] <br /> <br />분당구청은 지난 2021년 탄천 다리 20개를 정밀 안전 점검하는 데 1억7천만 원 상당을 썼습니다. <br /> <br />다리 하나에 800만 원쯤 들어간 것으로, 이 단가로는 사실상 서류 검사 정도밖에 하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. <br /> <br />[최명기 /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 : 정기점검 같은 것을 줬을 때 거기 업체에 대해서 역량이 충분한지에 대해서도 평가하는 이런 것들도 있거든요. 아마 가서 확인해봐야겠지만 안 했을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고요.] <br /> <br /> <br />겉보기엔 멀쩡한 갈대밭을 파보니 중계 장비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에서 건 전화를 국내 010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데요, <br /> <br />경찰이 땅을 파헤친 그 순간에도 각종 통신장비들과 배터리들이 작동 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예전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안보라 (anbor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41108454964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